풍기인삼의 재배여건 및 특성
소백기슭의 풍부한 유기물과 대륙성 한랭기후와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로서 인삼이 생육하기 좋은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어, 타지방보다 육질이 단단하며 유효사포닌 함량이 높은 우수한 인삼을 880여농가에서 436ha 재배하여 393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또한 풍기인삼의 특성을 살린 인삼가공제품을 4개의 업체에서 20여종의 가공제품을 생산하여 전국에 유통하고 있음.
풍기인삼의 특징
- 육질이 탄탄하여 중량이 무겁고 약효가 뛰어납니다.
- 같은 분량을 달여도 다른 인삼보다 훨씬 진합니다.
- 약탕기에 끊여 재탕, 삼탕을 해도 물렁하게 풀어지지 않습니다.
- 피로를 빨리 회복하고 식욕을 돋구어 줍니다.
- 적혈구 증가 등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줍니다.
인삼의 효능
- 많은 연구결과 인삼을 장기적으로 복용하는 사람은 체내에서 병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감소시켜 효과적으로 병을 예방 할수 있다.
- 현대 의학적 효능을 살펴보면, 당뇨병, 암, 동맥경화 및 고혈압, 빈혈, 노화방지, 피로 및 스트레스 해소등 효능이 있으며
- 한방적 효능으로 신체허약 개선, 강장효과, 간기능강화, 체력증진 등이 있습니다.
인삼의 용법
따뜻한 물이나 꿀차, 우유컵에 밥스푼으로 1 - 2스푼타서 하루 2회 복용
식성에 따라 흑두분말, 마분말, 인삼분말을 혼용하여 사용하면 더욱 좋음
비늘이 없는 고기 (미꾸라지, 뱀장어, 메기)는 피할 것
수삼
밭에서 캐낸 인삼 원형상태로 75%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모든 인삼의 원료가 되는 것으로 대게 4~6년근을 채굴 · 수확한다. (단위 : 750g채).
백삼
수삼을 원료로 하여 껍질을 벗겨 수분함량이 14%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것으로 색깔은 미황색을 띠며 형태에 따라 직삼(直蔘), 곡삼(曲蔘), 반곡삼(半曲蔘)으로 구분된다.
홍삼
수삼을 원료로 하여 껍질을 벗겨 수분함량이 14%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것으로 색깔은 미황색을 띠며 형태에 따라 직삼(直蔘), 곡삼(曲蔘), 반곡삼(半曲蔘)으로 구분된다.
인삼가공 제품
절편삼, 홍삼절편삼, 홍삼차, 홍삼정과, 홍삼정, 홍삼타브렛, 홍삼액, 홍삼분말, 인삼분말, 홍삼정, 홍삼캡슐, 황금홍삼비누, 홍삼벌꿀비누, 홍삼우유비누, 홍삼제리, 홍삼캔디
거래형태
전자상거래, 택배, 우편주문판매, 직거래, 현대(울산점, 부산 서면), 롯데(본점, 잠실점,영등포점, 강남점), 대백.동아백화점, 이마트 전국 54개점 입점 판매되고 있음.
안내 및 구입처
영주시농업기술센터 유통마케팅과 639-6271~6274
인터넷쇼핑몰 영주장날(http://www.yjmarket.com)
풍기인삼협동조합 : 054)636-2714
풍기인삼생산자판매인조합 : 054)636-5634
(사) 풍기인삼시장 : 054)636-7948
(사) 풍기선비골인삼시장: 054)636-3450
(영.법) 풍기인삼홍삼상점가 : 054)632-3989
풍기특산물영농조합법인 : 054)636-4114
풍기인삼공사영농조합법인 : 054)638-2304
소백인삼영농조합법인 : 054)636-3725
풍기인삼의 종류
· 수삼 (水蔘)
수삼은 밭에서 캐낸 말리지 않은 인삼으로 70-75%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모든 인삼제품의 원료가 되는 것으로 대개 4-6년근에 채굴 수확하고 있다. 수삼은 세월의 깊이와 경작인의 정성을 먹고 자란 영초이다.
· 홍삼 (紅蔘)
수삼을 장기간 저장할 목적으로 수증기로 찐 다음 건조시킨 담적황갈색의 제품이다. 증삼 건조의 과정을 거쳐 수분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하게 되는데 제조과정 중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농다갈색의 색상을 가지며 매우 단단한 형태로 가공되어 원형이 장기간 유지된다.
· 미삼(尾蔘)
백삼, 태극삼 등 제조 과정에서 나온 잔뿌리를 말린 것으로 사포닌 함량이 가장 풍부하다. 여름철 더위 타는 사람에게 적당하다.
· 백삼(白蔘)
4-6년근 수삼을 원료로 하여 대부분 껍질을 살짝 벗겨내고 그대로 햇볕에 말려 제조한 것으로 수분 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원형유지 인삼 제품이며 색깔은 미황 백색을 띠며 홍삼의 가공법과는 달리 태양열에 의한 자연건조 또는 열풍, 기타의 방법으로 익히지 아니하고 말린 것을 말한다.
· 태극삼(太極蔘)
원형유지 가공인삼 제품으로 홍삼과 백삼의 중간제품이라 말할 수 있으며 직립형태이며 수삼을 뜨거운 물 속에 일정시간 담구어 표피로부터 동체의 일부를 호화시켜 건조한 것이며 표피의 색상은 담적황갈색을 띠고 절단했을 때의 단면은 홍삼의 절단면 색상과 유사한 담갈색 환이 나타난다.
풍기인삼의 특성
소백산록의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에서 생산되는 풍기인삼은 내용조직이 충실하고 인삼향이 강하며 유효사포닌 함량이 매우 높다.
풍기 인삼에는 아래의 6가지 특징이 있다고 한다.
풍기인삼의 특성(자연환경)
인삼고추장
재료
· 찹쌀·고춧가루 ...... 각 1되
· 메줏가루·엿기름.... 각 0.5되
· 생삼 잔뿌리 ......... 100g
· 곶감 ................... 6개
· 조청(또는 물엿).... 2컵
요리법
장아찌 만들기
재료
· 생삼 당년초(1년생).... 200g
· 양지머리 육수 .......... 2컵
· 대추 ....................... 50g
· 생강 ....................... 1/2쪽
· 조선간장(또는 진간장).1컵
· 물엿 ....................... 1큰술
요리법
♦ 매운 맛을 원한다면 생삼의 몸통을 씻어서 물기를 완전히 거둔 뒤, 반으로 갈라 망사주머니에 넣어 고추장 항아리에 박아둡니다. 단, 인삼장아찌는 사포닌 성분으로 인해 금세 발효되므로 담근 지 열흘 정도 되면 먹기 시작하되 너무 오래두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인삼겉절이
재료
· 수삼 .................. 2뿌리
· 굴 ..................... 200g
· 간장,실파,소금..... 3큰술씩
· 마늘 .................. 3쪽
· 고춧가루 ............ 작은술
· 참기름, 설탕 ....... 1큰술씩
· 깨소금 ............... 1작은술
요리법
수삼 무초절임
재료
· 수삼 .................... 5뿌리
· 무 ....................... 400g
· 팽이버섯 .............. 250g
· 파란 피망 ............. 5개
· 맛살 .................... 200g
· 소금,설탕,식초,물... 1술
요리법
수삼 백김치
재료
· 수삼 ................... 5뿌리
· 배추 ................... 1포기
· 무 ...................... 400g
· 당근 ................... 150g
· 미나리, 쪽파 ........ 200g
· 마늘, 생강 ........... 약간씩
· 밤, 잣 ................. 약간씩
· 배, 석이버섯 ........ 약간씩
· 찹쌀가루, 소금...... 약간씩
요리법
♦ 인삼을 넣고 담근 김치는 인삼의 사포닌 성분 때문에 빨리 익으므로, 오래 보관하지
말고 때맞춰 드세요.
인삼밥
재료
· 수삼 ...................... 2뿌리
· 쌀 ......................... 3컵
· 당근, 표고버섯 ........ 50g
· 완두콩 ................... 30g
· 참기름 ................... 약간
요리법
삼계탕
재료
· 수삼 ................... 1뿌리
· 영계 ................... 1마리
· 대추 ................... 2개
· 통마늘 ................ 3쪽
· 찹쌀, 차좁쌀 ........ 1큰술씩
· 껍질벗긴 들.......... 1큰술
· 생강 ................... 1/2쪽
요리법
♦ 생강이나 마늘 등의 재료는 반드시 영계의 뱃속에 넣고 고아야 닭 전체에 향이
배어들어 제 맛을 낼 수 있습니다.
재배방식
풍기인삼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분기점인 영남의 최북단에 위치한 소백산 아래 경북 풍기를 중심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다.
기후 풍토는 해발 250m인 고원지대로 내륙성 한랭기후가 형성되어 늘 통풍이 잘 되고, 토질은 사질양토로 배수가 양호하며 내용조직이 치밀하고 약성이 충분히 축적된 후 白露(백로)가 지나서 채굴하고 있다. 채굴시기에 따라 3년근, 4년근, 5년근, 6년근으로 구분한다.
재배현황
풍기인삼의 연중 식재면적은 80만평 정도이며, 면적의 1/2은 풍기를 포함한 영주지역에서 식재되며, 나머지 1/2은 예천군, 봉화군, 상주시, 문경시 순으로 인삼포지 형성은 소백산맥을 따라가면서 형성되고 있다.
그외 안동, 영천, 경주등 남쪽지방과 단양, 영월, 원주 등지에서도 경작하고 있다.
풍기지방의 식재면적은 전국의 약 10%이며, 생산량은 평균 평(칸)당 1.5kg(2차)으로 연중 1,200톤 생산되며, 수삼가격은 차(750g)당 15,000원 정도(경작인 매도가격)로 연간 조수익이 약 240억원에 달한다.
풍기지방의 가공 현황은 전체수확량의 약 13%인 150톤(100,000갑)이 백삼 원료용으로, 약5%인 60톤이 태극삼(20,000근) 원료용으로, 약5%인 60톤이 홍삼(20,000근)원료용 수삼으로 사용되며, 그 외는 인삼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인삼은 신초 또는 지정이라고도 하는데, 원기를 돕고 온갖 병에 효능이 있다하여 영약 중의 영약으로 알려져 왔으며,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는 고려불로초라하여 진귀품으로 여기고 있다.
풍기 인삼시장은 1965년부터 정기시장이 개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90년 9월 풍기역 앞에 건평 1,436평의 인삼시장을 개설하여 수삼·백삼 등을 상시 판매하고 있으며, 현재 약 80여개의 점포가 위치하고 있다
2001년 12월 중앙고속도로의 완전개통으로 "풍기 IC"을 통한 외지인구의 유입으로 인하여, 매출이 50%이상 오르는 등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또한 매년 9월말에서 10월초에 풍기인삼축제가 열려 인삼캐기 체험 현장, 인삼요리 전시회 등 각종 행사가 개최되고 있어 국·내외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고 있다.
문의
관람시간: 30분
개장시간: 08:00-22:00
찾아가는 길: 중앙선 철도나 중앙고속도로 및 5번 국도를 이용하여 풍기역도착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서부리 풍기인삼시장(풍기역 앞)
세계적인 명성의 풍기 인삼을 주제로 영주시가 주관하고 풍기인삼축제추진위원회가 주최하는 문화관광부가 지정한 "풍기인삼축제"
“지구촌의 건강한 삶을 책임지는 만고의 영약 풍기 인삼”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지난날 인삼시장에서 최고의 가치를 인정받아온 풍기 인삼의 명성에 걸맞게 매년 10월초에 성대히 개최된다.
주요 행사로는 농악놀이, 인삼대제, 인삼요리 전시, 시민 노래자랑, 인삼캐기 체험, 특산물 판매, 택견시범 등 소백문화제와 연계하여 다양한 이벤트 행사로 진행된다. 특히, 인삼캐기 현장 체험은 외지 관광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자녀를 동반한 가족체험의 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